폴 틸리히

기독교에 철학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 『성서 종교와 궁극적 실재 탐구』, 폴 틸리히
유신론과 무신론은 어떻게 만날 수 있을까? 어차피 대화도 되지 않을텐데 굳이 만날 필요가 있을까? 이 질문에 대해 ‘반드시 그래야만 한다’고 ...

④ 인간 불안의 근본적인 원인 (불안의 유형과 그 의미),『존재의 용기』, 폴 틸리히
이 책의 제목은 『존재의 용기』이다. 새삼스럽게 제목을 강조한 이유는, 앞선 글들에서 용기 개념의 역사적 흐름을 정리하는데 집중하다 보니 저자가 말하고자 ...

③ 스피노자와 니체의 자기 긍정 (용기에 대한 철학적 고찰), 『존재의 용기』, 폴 틸리히
평범한 한 인간을 위대하게 만드는 단어로 용기만한 것이 또 있을까? 물론 그 근원에는 무언가를 향한 사랑이 작동하고 있겠지만, 용기는 그런 ...

② 스토아 철학과 기독교의 차이 (용기에 대한 철학적 고찰), 『존재의 용기』, 폴 틸리히
이전 글에서 소개했던 것처럼 저자는 철학과 신학의 통합, 즉 서구 사상사 (철학) 의 탐구를 통해 자기 학문 (신학) 의 가치를 ...

① 용기에 대한 철학자들의 생각 (고대 ~ 중세), 『존재의 용기』, 폴 틸리히
외국어를 모르는 사람은 자신의 모국어도 전혀 모른다.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이번 책의 저자인 폴 틸리히는 저명한 신학자이다. 필자도 ...
안녕하세요, 소중한 댓글 감사합니다. ^^ 부족한 게 많은 아빠라.. 글을 쓰면서 많이 반성하게 됩니다. 요즘에 글 쓰는 패턴이 무너져서 좀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