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전

유토피아 환상에 대한 정신분석적 비판, 「투셰와 유토피아」, 라이언 앤소니 해치 편
이번 책은 ‘유토피아’라는 주제에 대해 슬라보예 지젝, 가라타니 고진 등 저명한 학자 9명의 정신분석적 사유를 담은 논문 모음집이다. 앞으로 각각의 ...

‘매일 글쓰기 챌린지’를 통해 바라본 나의 증상
어느덧 2월의 매일 글쓰기 도전도 하루밖에 남지 않았다. 내일까지 써봐야 8개 (목표 21개) 에 불과해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이다. 사실 ...

실패를 대하는 아마존의 방법 (feat. 제프 베조스), 『발명과 방황』
실패를 어떻게 대해야 할까? 아니, 실패를 어떻게 성공의 자양분으로 삼을 수 있을까? 성공에 있어서 실패가 필연적이라는 점을 모르는 사람은 아마 ...

고전을 통한 자기 주도 학습법, 『세인트존스의 고전 100권 공부법』, 조한별
개인적으로 배움과 성장에 있어 롤 모델로 삼고 싶은 두 주체가 있다. 하나는 유대인이고 다른 하나는 오늘 이야기 할 세인트존스 대학이다. ...

어떻게 질문하는 아이로 키울 수 있을까?, 『유대인 엄마는 장난감을 사지 않는다』, 곽은경
이 책은 미국 유대인 유치원에 아이를 보낸 엄마가 유대인 친구들과 삶을 나눈 경험기이다. 지난번 리뷰했던 책 『13세에 완성되는 유대인 자녀교육』이 ...

소크라테스가 서양철학의 아버지가 될 수 있었던 이유, 『소크라테스의 변명』, 플라톤
“인간들아, 소크라테스처럼 자기가 지혜에 관해서는 실제로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을 아는 자가 너희 중에서 가장 지혜로운 자이다.”p. 23 정확히 어디에서 봤는지 ...






https://shorturl.fm/6o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