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용] 소크라테스

② 스토아 철학과 기독교의 차이 (용기에 대한 철학적 고찰), 『존재의 용기』, 폴 틸리히
이전 글에서 소개했던 것처럼 저자는 철학과 신학의 통합, 즉 서구 사상사 (철학) 의 탐구를 통해 자기 학문 (신학) 의 가치를 ...

① 용기에 대한 철학자들의 생각 (고대 ~ 중세), 『존재의 용기』, 폴 틸리히
외국어를 모르는 사람은 자신의 모국어도 전혀 모른다. – 요한 볼프강 폰 괴테 이번 책의 저자인 폴 틸리히는 저명한 신학자이다. 필자도 ...

라캉의 ‘분석가의 욕망’이 완성되기까지, 『라캉 정신분석의 핵심 개념들』, 카트리엔 리브레히트 편
지난 글에서는 프로이트와 라캉의 욕망에 대해 살펴볼 수 있었다. 아이에게 만족을 제공하는 어머니의 사랑을 통해 프로이트는 아이가 이전의 충동 만족을 ...

의미있는 삶을 위해 무엇보다 중요한 이념, 『참된 삶』, 알랭 바디우
오늘날의 삶이라는 건 참 어렵다. 유교적 전통은 형식적인 차원에서 이미 그 수명을 다했고, 종교계를 잠식한 물질 만능주의는 세상과는 다른 길을 ...

자유와 평등의 모순을 시차적으로 극복한 바디우의 철학, 『투사를 위한 철학』, 알랭 바디우
철학이란 무엇일까? 생각해보면 평소 빈번하게 사용하고 있으면서도 그 뜻을 정확히 알고 있진 못했던 것 같다.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철학은 고대 희랍어의 ...

소크라테스가 서양철학의 아버지가 될 수 있었던 이유, 『소크라테스의 변명』, 플라톤
“인간들아, 소크라테스처럼 자기가 지혜에 관해서는 실제로 아무것도 모른다는 것을 아는 자가 너희 중에서 가장 지혜로운 자이다.”p. 23 정확히 어디에서 봤는지 ...






안녕하세요, 소중한 댓글 감사합니다. ^^ 부족한 게 많은 아빠라.. 글을 쓰면서 많이 반성하게 됩니다. 요즘에 글 쓰는 패턴이 무너져서 좀처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