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글에서는 불로소득 자본주의 시대의 전반적인 흐름을 정리해 보았다. (* 참고글 : 불로소득주의가 국가 경제에 미치는 영향) 이번 글에서는 영국에서 지대가 어떻게 공고하게 자리잡게 되었는지 주요 사례와 저자의 해결 방안을 나눠보고자 한다. 더불어 내용을 보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단문 / 블록 형태로 남겨 보았다.
1. 불로소득 자본주의 개요
- 자본주의 : 사적 소유
- 지대 : 가치 있는 자산을 ‘독점 통제’함으로 얻는 초과 이득
- 불로소득주의 : 사회 전반에 걸쳐 지대 추구가 당연시 (또는 필수가) 되는 상태
- 『21세기 자본』에서 토마 피케티가 정식화 한 현대 자본주의의 경향 (r > g : 자본수익률(r)이 경제성장률(g)을 초과하는 특징) 이 이를 잘 보여주며, 부의 불평등 증가는 그 결과
- 그러나 불로소득주의는 새롭게 등장한 것이 아니라, 자본주의에 근본적으로 내재된 것
- 1809 ~ 1879 : 영국 백만장자의 90%가 지주 (토지 불로소득자들, 산업혁명 시기 부르주아 이미지 재구축)
- 1900초 ~ 중반 : 2차례의 세계 대전 여파로 불로소득주의 제압 (토지 공공화)
- 1950 ~ 1970 : 국가 자본주의 (카르텔화 자본주의)
- 1970 ~ 현재 : 세계 자본주의 (불로소득 경제화 자본주의)
- 1979년 마거릿 대처 수상 취임 (서구 역사학 불로소득주의 본격화 시점으로 봄)
- 1970년대 말 이래 자본가 부활 (위기 때마다 정부와 납세자에게 비용 전가)
- 대처 이전 : 케인스주의, 사회민주주의
- 대처주의/포스트대처주의 : 신자유주의
- 부패 / 무능한 국가 자본주의의 대안으로 떠오른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맞물려 영국에서 가장 강력하게 시행
- 통화, 재정, 국정 운영 (거버넌스), 자원 배분 등 모든 영역에서 재산권 보호가 강화되면서,
① 독과점 기업들의 지대 추구 관행을 촉진시켰고,
② 대기업의 경쟁 참여 부담 덜어줌
- 통화, 재정, 국정 운영 (거버넌스), 자원 배분 등 모든 영역에서 재산권 보호가 강화되면서,
- 결과 : 영국 경제의 장기 침체와 불평등 심화
2. 신자유주의의 결과물
- 영국 정부 신자유주의 근거해
① 규제 완화 (조세 특혜), 자유화 (민영화, 외주화)
② 관리 (규제, 추가 이익 환수 등 사후 조치) 미미해 각 지대 별 상당 기간 초과 이득 방관했다는 공통점 있음- 민영화 : 자산 민간으로 이전
- 외주화 : 외부 업체에 공공 서비스 위탁
- 정부 역할 중심으로 전체 7개 지대 중 우리에게도 시사점을 줄만한 지대 세 가지만 꼽아보았음
1) 금융 지대 (기능 없는 투자자)
- 금융 지대 확장 과정
- 1920 ~ 1970년대 : 자산에 대한 상대적 높은 세금, 자본수익률 낮아짐
- 1970 ~ 2007년 : 실질 금리 전보다 높아져 이자수익 커짐
- 2007년 이후 : 금리 인하로 손실 컸으나, 양적 완화 + 금융 상품 다변화로 공급 늘려 수익 극대화
- 정부 혜택 : 규제 완화 / 자유화
- 증권거래수수료 무료화
- 주택담보대출 자유화 (대처 이후 주택금융조합 이자율 카르텔 폐기, 은행 경쟁 개방)
- 모든 것 증권화 (자본화)
- 민간 수요 유도 (자본이득세 ↓, 인지세 ↓, 금융, 보험 부가세 무료화)
- 정부 관리
- 무한대 자산 창출, 임대 방관 : 2007년 말, 출처 모르는 4조 달러 자산 발생
- 도덕적 해이 방조 : 은행 보조금으로 파산 막아 더 크게 자산 축적 장려
- 조세회피처 조치 않음 : 영국 은행 자산 절반 다른 나라 은행 본사 회계 처리
- 결과
- 영국 등 세계 경제 화폐 공급 3%, 상업은행 대출 97%
- 영국 세계 경제의 2%, 인구의 1% 차지하나, 부채 18% 관리
- 영국 은행
- 이윤 : 1950년 2% → 2000년 20%
- 총이자수익 대비 순이자수익 : 2008년 15.5% → 2016년 50%
- 전체 순수익 대비 비이자수익 : 1984년 35.6% → 2006년 64.6%
- 순이자수익 : 대출이자 – 차입이자
- 비이자수익 : 거래수수료, 배당, 토지/건물 매각, 임대 수수료
- 불로소득자 안락사 주장한 케인스
① 금융지대 희소성 자연발생 아닌 ‘사회적 생산’ 통찰, 자본량 증가로 해결 가능 믿었으나, 자본량 증가에도 더욱 번성
② 케인스 인식 못한 것, 금융 권력이 자본 자체 통제 가능한 가격 결정자라는 점 (신용 창출, 가격 책정, 은행 인수로 경쟁 제한, 감소)
2) 계약 지대 (외주화)
- 정부 혜택 : 독점 지향적
- 외주화 논리 : 관료주의 비효율, 민간 부문으로 이전해 경쟁 촉진, 재정 위험 전가
- 규모상 대기업 위주, 단건 입찰로 독점 경향 굳어짐
- 정부 관리 : 감독, 관리, 책임 부재
- 선출, 책임지지 않는 기관에 공공서비스 넘기는 외주화 근본적인 한계
- 심각한 결과 재난, 내부 고발자 통해서만 알려짐
- 결과
- 공공계약 집중도 심화
① 30개사 20% 집중, 비중 증가
② 대형서비스 집중도 더욱 높음 (상위 5개사 60% 장악)- 2017년 세르코 낙찰 (신규 50%, 재계약 90% 이상)
- 수의/단독계약 2016년 15% → 2018년 23%
- 독점 / 안주해 실적 개선 저조
- 소수 공급자 의존도 커짐 : 중요 업무도 감당 가능 어필
- 독점 가격 책정 : 단독계약 다수계약보다 10% 이상 비쌈 (2009-2014 유럽 28개국 280만건 공공조달계약 조사 결과)
- 최고입찰→비용절감 변화 따른 자살입찰로 노동력 쥐어짜기
- 저임금 노동자 경력 개발 경로 축소/단절 (연금 악화, 급여 삭감, 관리자 임금 자주 인상으로 불평등 심화)
- 공공계약 집중도 심화
3) 인프라 지대 (민영화)
- 정부 혜택 : 관대한 세금 감면
- 국가 필수 서비스 (전기, 수도, 에너지) 민영화, 청구서 시민 전가
- 플랫폼(중개)과 근본 차이, 인프라는 서비스 제공에 필수적이라는 점
- 국유화 : 2차대전 후 1945 노동당 표어
- 민영화 : 70년대 이후 보수당 표어
- 독점이 경쟁 낳을 것 믿음 : 경쟁 도입 가능 시에도 적용 꺼림, 심지어 투자자들에게 영국 인프라 매력으로 독점 소개
- 부채 조달 세금 최소화 (세금 이자 비용 이후 이윤에 납부, 이자비용 영업이익 대비 매우 낮음)
- 정부 관리 : 시늉만 냄
- 규제 기관 설립(고가 책정, 과소투자 방지)했으나, 독점 기업 단호한 견제 없음 (규제 약하고 수용적)
- 97년 토니 블레어 노동장 정부 민영화 기업 초과이윤에 횡재세 부과했으나 미미, 일회성 그침
- 결과
- 독점 가격 설정 : 수도요금 40% 상승 (1989 ~ 2015)
- 서비스 질 저하 : 연구개발 지출 최저
- 위험 회피 : 수도 오염, 솜방망이 처벌 후 라이선스 유지
- 투자 이윤 추구 (고객 청구)
- 가격 상한선 (영국) vs 이윤 상한선 (미국) : 미국 방식 이득 비교적 공평 공유 가능하나, 영국 이득에 대한 소비자 몫 없음 (투자자 특혜 제공)
- 가격 인상 제한 개선 인센티브 낮추고, 비용절감 (인건비 축소) 강력히 장려 : 수도, 가스, 전력 부문 일자리 상실 (수도 20%, 전력 60%)
3. 저자의 대안
- 불로소득자 안락사, 자본주의와 다른 목적지 가진 정치경제 시스템 만드는 것 (자본주의 구제 아님)
- 다음 정책 적극 추구시 (자본주의에 내재된 불로소득주의 잠식) 자본주의 이름 붙이기 어려움
- 경쟁정책으로 독점 깨기 : 제약 없을 때 기업 혁신은 독점, 지대 추구로 굳어짐 명심해야 함
- 조세 정의에 따른 조세 정책 실현
- 세금, 반응적 정치 기술 아닌 경제 틀 짜는 강력한 도구, 불평등 해결에 가장 중요
- 1910 ~ 1980년만 r (자산수익률) < g (경제성장률) 로 불평등 감소
- 1980년 이후 금융 세계화, 자본유치 경쟁 심화로 세율 인하, 제거로 불로소득자 세제 혜택 제공해 모두가 불로소득자 지향하도록 조장
- 불로소득 세금 높이고, 비불로소득 세금 낮춰 초과이윤 창출 제한해야 함
- 세금, 반응적 정치 기술 아닌 경제 틀 짜는 강력한 도구, 불평등 해결에 가장 중요
- 생산적 투자 촉진 (기업가적 국가) : 국가가 부 창출 관리, 규제, 핵심 행위자로 기능해야 함
- 비자산 활동 적극 지원 : 자산에 기여하는 노동자 가치 인정
- 소비자까지 확대 : 필수 재화, 서비스 공공 지원
- 탄소중립경제 : 청정 에너지 추출, 생산, 운용 인프라 투자
- 소유구조 재편
- 소유권 문제, 정치적인 문제임 인식해야 함 : 소수만 부유 시 정치 장악해 민주주의 약화
- 대중에게 자본에 대한 몫 더 많이 제공
- 종업원, 대중에게 경제력, 통제권 확산
- 공공부문 자산 (교통, 병원, 주택 등) 소유, 운영 국유화, 재공영화
- 독일 볼프하겐 지역 전기배급 지자체, 1/4 지역 시민 협동조합 소유 (주민 이사회 의석 보유)
- 다만 사적자산 소유 미화, 물신화 만큼 국가 소유 낭만화, 절대시 해도 안됨 (민영화 정부가 공공 부문 소유, 관리 무능력한 정부에 대한 반발로 탄생한 것 기억해야 함)
4. 함께 잘 되는 길 포기하지 않았으면
- 살펴본 것처럼 영국 정부가 앞장서서 국민 경제를 어려움에 빠뜨렸지만, 우리도 먼 산 바라볼 처지가 아님
- 맡은 자리에서 성실히 일하는 가치가 마땅히 존중 받아야 함에도, 근로소득 증가를 압도하는 자산가격 급등, 지속되는 인플레이션 등으로 인해 기존 질서가 뿌리부터 흔들리고 있기 때문
- 공무원 지원율 급감, 조기 퇴사율 급증, 공부 좀 한다 하면 의사만 추구 (과학고, 카이스트 등 최상위 공대생들도 자퇴 후 의대 진학 노려 학계 우려 커지는 상황)
- 저자가 좋은 사례라 언급한 한국의 GDP 대비 연구개발 투자 비율 예산을 줄인 이유도 있겠지만, 방향성 잡지 못한 상태에서 중국이 빠른 속도로 추월 중
- 과거 자산 지대 추구를 죄악시 여겼던 민주당도 문제지만 (부동산 가치 상승 억압하자 욕망이 폭발해 더 큰 실패 낳은 것 모두가 경험), 무조건적으로 지원하는 것은 더욱 큰 문제
- 개개인이 깨어서 정치 권력 감시하는 것 외엔 답이 없으나, 극심한 분열, 진실보다는 감정적 지지 우선되는 현 흐름 바꾸기 갈수록 어려워짐
- 국가적으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더미인데, 말도 안되는 정쟁 속에 하염없이 시간 소모하는 중
-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산업 재편, 노인인구 부양, 연금 개혁, AI / 로봇 시대에 대한 대비 등 머리를 맞대고 풀어나가도 해결하기 어려운 일들 투성이지만, 늘 경험했던 것처럼 소 잃고 외양간이라도 고칠지 기대되는 바가 전혀 없음
- 미디어 발달로 느리게, 깊이 사유하는 능력도 갈수록 퇴보하고 있어 자본주의에 잠식된 민주주의 회생 가능성 갈수록 멀어짐
- 그럼에도 인상적이었던 저자의 주장처럼 세금이 가장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경제적 유인책임을 인식하고, 자본 이득에 대한 세율은 점진적으로 높이고, 새롭게 도전하는 기업들에 대한 혜택을 파격적으로 제공해 위험을 감수하고 도전하는 것이 가장 큰 이익임을 모두가 공감하도록 장기적으로 유도해야 함
- 또한 더 이상 자본주의라 부를 수 없는 정치경제체계 갖는 것, 우리나라에서는 빨갱이라 욕먹는 공산주의적 성격 다분하나, 각자도생 사회와의 절연을 위해 지속적으로 보완해 갔으면 하는 바람
- 사회 간접자본, 필수재 국민 부담 줄여 걱정 없이 생산활동, 부가가치 제공 활동 전념할 수 있도록 한다면 의미있는 도약 이룰 수 있을 것이라 확신
- 결국 우리나라는 운명 공동체. 소를 탐하다 모두가 죽는 길을 선택하기보다 조금씩 양보해 공공선을 이룰 수 있는 방안을 찾을 수 있기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 어쩌면 답은 정해져 있음. 우리가 그 길을 함께 갈 용의가 있느냐가 중요할 것 같은데, 시간이 지체될수록 어려워질 수밖에 없으므로 도처에서 의미있는 운동들 이어지길 바라는 마음